지메이커 주식회사

콘텐츠 폴더 이미지
스토리

최초의 인공지능(AI): 튜링 테스트와 그 이후

앨런 튜링과 AI의 태동기 이야기 “기계가 생각할 수 있는가?” — 앨런 튜링, 1950년 1. 암호 해독가에서 ‘인공지능의 아버지’로 앨런 튜링(Alan Turing, 1912~1954)은 천재 수학자이자 논리학자였습니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그는 영국 블렛칠리 파크(Bletchley Park)에서 독일의 암호기 에니그마(Enigma)를 해독하는 데 핵심 역할을 했습니다. 그의 암호 해독 기계 봄브(Bombe)는 연합군의 전쟁 기간을 최소 2년 단축시켰다고 평가받습니다. 전쟁이 끝난 뒤, 튜링의 관심은 한 가지 질문으로 향했습니다. “사람처럼 생각하는 기계를 만들 수 있을까?” 2. ‘모방 게임’에서 시작된 튜링 테스트 1950년, 튜링은 논문 「Computing Machinery and Intelligence」를 발표하며 ‘모방 게임(Imitation Game)’을 소개했습니다. 이 게임은 한 사람(심문자)이 채팅을 통해 두 존재와 대화를 나누는데, 한 명은 인간, 다른 한 명은 기계입니다. 심문자가 기계와 인간을 구분하지 못한다면, 그 기계는 지능이 있다고 간주됩니다. 튜링의 통찰은 단순했습니다. ‘생각’이라는 모호한 개념을 정의하려고 애쓰지 말고 “사람처럼 행동할 수 있는가”라는 실용적인 기준을 세우자. 이 아이디어는 이후 70여 년간 인공지능 논의의 기준이 되었습니다. 3. AI 태동기와 첫 도전들 튜링 테스트는 1956년 다트머스 회의(Dartmouth Conference)에서 ‘Artificial Intelligence’라는 용어가 공식화되는데 영향을 주었습니다. 초창기 AI 연구자들은 컴퓨터 체스, 수학 정리 증명, 대화형 프로그램(ELIZA) 등에서 두각을 나타냈습니다. 하지만 현실의 벽은 높았습니다. 컴퓨팅 파워 부족 방대한 지식 데이터 부재 언어 이해의 한계 결국 1970~80년대에 ‘AI의 겨울’이 찾아왔습니다. 4. 튜링 테스트를 넘어서 오늘날 AI 평가는 훨씬 다양해졌습니다. CAPTCHA: 기계와 인간을 구별하는 반대 버전의 테스트 Winograd Schema Challenge: 문맥 기반 언어 이해력 측정 다양한 벤치마크: MMLU, BIG-bench, ImageNet 등 튜링 테스트는 여전히 상징성이 크지만, 이제 AI의 지능은 추론력, 창의성, 학습 속도, 적응력 등 다각도로 평가됩니다. 5. 현대 AI와 튜링의 유산 GPT, DALL·E, AlphaGo 등 현대 AI는 특정 분야에서 이미 인간을 넘어섰습니다. 그럼에도 완전한 범용 지능(AGI, 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은 아직 미지의 영역입니다. 튜링이 던진 질문은 이렇게 확장되었습니다. “기계가 생각할 수 있는가?” → “기계가 인간과 협력하며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가?” 그의 생각은 단순한 과학적 호기심을 넘어, 윤리·사회·철학까지 아우르는 화두로 발전했습니다. 6. 알려지지 않은 뒷이야기 튜링은 AI 논문뿐 아니라 체스 프로그램도 설계했습니다. 당시 컴퓨터가 없어서, 프로그램을 사람이 손으로 계산해 두 시간 동안 2~3수만 둘 수 있었습니다. 그는 기계가 학습할 수 있는 ‘유아기 지능’ 개념을 제안했습니다. 처음엔 단순하지만, 경험과 학습으로 점차 성장하는 시스템이 이상적이라고 본 것이죠. 안타깝게도 튜링은 당시 사회적 편견과 차별로 인해 41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습니다. 그의 사망 이후 수십 년이 지나서야 업적과 명예가 재평가되었습니다. 마무리하며 튜링은 컴퓨터의 아버지를 넘어, 지능의 본질을 묻는 철학자이기도 했습니다. 그가 제안한 테스트는 단순한 기술 실험이 아니라, “인간과 기계의 경계”에 대한 지속적인 대화를 시작하게 한 기념비적 사건이었습니다. 70여 년이 지난 지금도, 우리는 여전히 튜링의 질문 앞에 서 있습니다. 그리고 아마도 AI가 진정한 ‘생각하는 존재’로 인정받는 날, 그 순간을 가장 먼저 축하해야 할 사람은 바로 앨런 튜링일 것입니다. ※ Design by. Freepik

2025-08-13